2016년 9월 27일 화요일

리더십에 대한 고찰, 분석할 대상인물로서 예를 들어 이순신의 리더십으로 정하여 분석하시오. 다운 - 과학논문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7464
리더십에 대한 고찰, 분석할 대상인물로서 예를 들어 이순신의 리더십으로 정하여 분석하시오. 다운

리더십에 대한 고찰, 분석할 대상인물로서 예를 들어 이순신의 리더십으로 정하여 분석하시오.

리더십에 대한 고찰, 분석할 대상인물로서 예를 들어 이순신의 리더십으로 정하여 분석하시오.

리더십에 대한 고찰, 분석할 대상인물로서 예를 들어 이순신의 리더십으로 정하여 분석하시오.

"소통과 포용의 리더, 세종대왕" 의 리더십에 대한 고찰

근래 몇 년 동안의 발생한 인재사고 이후 사회 모든 분야에서 리더의 소양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어느 때보다 다양하고 강력하게 분출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옛 선인들의 리더십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 벤치마킹 해보고자 한다.

리더십이란

집단의 목표나 내부 구조의 유지를 위하여 성원(成員)이 자발적으로 집단 활동에 참여하여 이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능력을 말한다.

작은 집단에서부터 정부까지 어느 조직의 수장에게나 요구 되는 능력이다.

단적으로 경영자의 리더십은 기업의 발전을 좌우하는 것으로서 중요시 되고 있다.

역대 왕과 대통령을 통틀어 리더십에 대하여 재조명 받고 있는 세종대왕의 리더십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근현대사에 있어서 필요한 리더의 리더십에 대해 생각해 보려고 한다.

세종대왕은 누구인가.

"백성을 다스리는 사람은 마음을 다하지 아니할 수 없다" -세종실록 23년12월17일

태종의 높은 신임과 중신들의 간청으로 조선조 제 4대 왕으로 즉위한 세종은 천성이 총명하고 효성스러웠으며 공손하고 배우기를 좋아하는 호학정신이 남달랐다.

정치, 경제, 국방, 문화 등 다방면에 훌륭한 치적을 쌓아 수준 높은 민족 분화의 창달과 조선 왕조의 기틀을 튼튼히 하였다. 건국 초기의 강압적 왕권과 훈신세력 등이 사라지고, 온유한 유가적 자질의 신권과 유자적 소양을 지닌 국왕의 만남으로 유교 정치를 펼쳤다. 당시 사대주의가 팽배한 시대 배경을 갖고 있으나, 외국 문화를 참조하면서도 민족 문화를 독자적으로 발전시키는데 진력하여, 민족 역사상 가장 찬란한 한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의 업적은 무엇인가

정치적으로 중앙 집권체제를 운영하기 위하여 집현전을 설치하고, 다양한 인재를 등용하여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꾀하였다. 집현전을 왕립 학술기관으로 확장하여 젊은 학자들을 등용하고 인재양성과 학문진흥을 꾀하였으며, 정치 자문, 왕실 교육, 서적편찬 등 이상적인 유교정치를 구현 하였다.

조선의 임금은 하루에 세 번 경영관들과 함께 학문에 정진해야 한다. 아침에 하는 경연을 조강, 점심에 하는 경연을 주강, 저녁에 하는 경연을 석강이라고 한다. 그래도 부족하다 싶으면 밤에도 하는데 이를 야대라고 한다. 따라서 조선의 임금들은 어느 누구 보다 더 공부를 많이 할 수 밖에 없었고 이에 대한 스트레스도 많았다고 한다. 조선시대를 통틀어 이처럼 경영관을 통한 자기계발을 가장 많이 한 왕이 세종이였다고 하고, 반면, 이를 가장 게을리하고 무시했던 왕이 바로 연산군이었다고 한다.

집현전의 젊은 학자들의 협력을 받아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3년간 검증기간을 거쳐 반포함으로써 우매한 백성들도 어려운 한자에 의존하지 않고 쉽게 뜻을 전하고 이해 할 수 있게 하였다.

대외정책 면에서는 주변국과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면서 영토 확장에 진력하였다 명나라에 보내던 금은의 조공물을 폐지하고 마, 포로 대신하도록 하였고 여진과의 관계는 무력으로 강경책을 쓰거나 회유하는 화전 양면책을 썼는데 두만강 유역의 여진은 국토를 확장하였다.

세종은 오로지 백성을 사랑하는 성왕이었다.

재위기간 내내 일평생을 백성들의 '삶의 질'향상을 위해 정성을 쏟았다.

가뭄으로 흉년이 들어 백성들이 굶주리는 것을 보고 나라 창고를 열어 기민을 구제하는가 하면, 조세 감면 및 사면, 가뭄으로 인하여 죄수의 죄상을 조사하여 경한 자를 석방하고, 금주기간에 청주를 마신자가 죄에 걸린 적이 없고 탁주를 마시거나 혹은 술을 매매한 자만 걸리니, 금주기간이더라도 가족행사를 위해서나 늙고 병든 사람이 약으로 술을 마시는 경우 처벌치 말도록 하였다.

사회에서 가장 낮은 신분인 노비조차도 '하늘이 낳은 백성' 이라고 여겼으며 기민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도 늘 약자에 대한 꼼꼼하고 섬세한 배려를 잊지 않았다.

단순히 도움에서 그치지 않고, 근본적으로 농업의 생산성을 높임으로써 백성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여러 혁신적인 농업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추진하였다.

농업 생산성의 극대화를 위하여 농사직설을 만들었는데 책의 수요자인 실제 농사를 짓는 농민들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내용설명을 하였다. 책 하나를 제작 발간함에 있어서도 농사를 짓는 백성들에 대한 깊은 사랑을 담았다

세종 이전 농사는 관개수로를 놓아 경작하는 방식이 아니라 물이 있는 곳에 드문드문 개간해서 씨를 뿌리는 정도였는데, 시비법 이나 간종법, 수전과 같은 새로운 농사법을 도입하여 생산량 증가를 낳았다.

이처럼 세종은 인간의 힘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가뭄에 대하여도 보다 근본적인 농업기술의 향상을 병행함으로써 백성을 가난으로부터 좀 더 잘 살 수 있도록 이끌었다.

세종대왕의 리더십

세종대왕은 온갖 문제를 자기 안으로 끌어들여 간결한 해결책을 만든 다음 그것을 집요하게 관철해 내는 지도자였다. 세종의 통치술은 통치자의 수직적인 권위에 수평적인 경영마인드를 절묘하게 결합시킨 형태였다 준엄한 카리스마로 리더십을 발휘하면서도 온화한 성품과 넓은 포용력으로 민주적 의사결정 구도를 확립해 나갔다

새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 민심의 향배를 조사하여 사전준비를 철저히 하였고, 집현전과 같은 기구를 운영하면서 책임을 강조하였다, 또 한글을 반포할 때는 훈구 대신들의 살인적인 반대를 강력한 추진력으로 극복하였다.

세종은 자기절제와 인내가 몸에 밴 사람으로 자신을 다스림에 뛰어났으며, 평생토록 게으름을 보인 적이 없는 모범적인 사람이라고 역사는 적고 있다.

조선이 건국된 지 겨우 18년이 됐을 때 임금으로 즉위하였다. 새 왕조가 들어선 뒤 부족한 인재를 해결하기 위해 인재 수급을 위한 체제를 갖추고 인재를 등용하고자 노력하였고 새 왕조에 대한 백성의 기대에 부응한 민생고 해결을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세종은 백성과 신하를 다스림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음을 닦는 것으로 보았다.

신하들과 백성의 마음을 얻지 못할 경우 왕위도 사상누각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자료 (압축파일).zip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