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3일 수요일

주방용품의 건강위해요인,주방용품의 사용실태,양은냄비 사용실태,도마 사용실태,프라이팬 사용 실태,수세미 사용 실태,중금속감염,이따이이따이병 DownLoad - 서식사이트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6072
주방용품의 건강위해요인,주방용품의 사용실태,양은냄비 사용실태,도마 사용실태,프라이팬 사용 실태,수세미 사용 실태,중금속감염,이따이이따이병 DownLoad

주방용품의 건강위해요인,주방용품의 사용실태,양은냄비 사용실태,도마 사용실태,프라이팬 사용 실태,수세미 사용 실태,중금속감염,이따이이따이병

주방용품의 건강위해요인,주방용품의 사용실태,양은냄비 사용실태,도마 사용실태,프라이팬 사용 실태,수세미 사용 실태,중금속감염,이따이이따이병

주방용품의 건강위해요인

Index

조사 목적

주방용품의 사용실태

주방용품 별 위해성분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올바른 사용법 및 관리방법

관련 논문

Q & A

조사목적

식품 '무결점' 시대다. 조미료엔 화학성분을 빼고, 과자엔 트랜스지방을 빼야 소비자에게 외면당하지 않는다. 중금속이나 환경호르몬이 식품에서 검출됐다면 그날 당장 뉴스 1면을 장식한다. 뿐만 아니다. 유기농에 로하스까지, 식품에 작은 유해물질도 허락하지 않으려는 사람이 늘고 있다. 하지만 정작 놓치고 있는 게 있다. 바로 요리에 사용하는 주방용기, 그리고 음식을 담는 그릇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첨가물기준과 전대훈 연구관은 "유기농 채소, 무항생제 쇠고기 등 온갖 친환경 재료를 쓰더라도 유해물질이 우러나오는 조리기구나 식기를 사용하면 헛수고" 라고 말했다. 주방에서 꼭 알아야 할 조리도구식기류 건강상식을 정리했다.

양은냄비 사용실태

새 양은냄비의 표면을 200배 확대

낡은 양은냄비의 표면을 200배 확대

알루미늄 검출량

새 양은냄비 : 0.11mg/kg

낡은 양은냄비 : 0.74mg/kg

낡은 양은냄비는 새 양은냄비에 비해약 7배가 많은 알루미늄이 검출

도마 사용실태

물로 세척 하는 경우가 조사대상의 20%차지

세제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경우가 조사대상의 65 %차지

부엌에서 건조시키는 경우가 조사대상의 75%차지

햇볕에 건조시키는 경우가 조사대상의 4%차지

프라이팬 사용 실태

집에서 오래된 프라이팬 사용하다 보면

거뭇거뭇한 검은색의 가루, 물질이 나온다.

보통 그것이 몸에 안 좋은 성분인지 모르고

그냥 타거나 들러붙은 것으로 오해한다.

프라이팬에 늘어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해지는 코팅. 이러한 코팅이 벗겨진 프라이팬으로

고온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금속성분이 녹아 나오는

것을 모르고 지속적으로 사용한다.

수세미 사용 실태

매일 설거지를 하면서 사용하는 수세미는 일반적으로 닳아 해질 때까지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설거지를 한 후 수세미를 충분히 헹구지 않아 음식찌꺼기가 달라붙어 있어 세균번식이 쉬운 환경이다.

제대로 건조시키지 않고 늘 수분이 있는 상태로 방치하며, 그 상태의 수세미로 설거지를 하게 되면 그릇에서도 세균이 번식한다.

대부분 그 사실을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설문지분석(1)

설문지분석(2)

알루미늄 냄비

산성분과 반응하면 부식

유해성 노란 코팅이 벗겨지면 알루미늄에 그대로 노출 우려

새 제품에 비해 약 7배가 많은 알루미늄 검출

알루미늄

결합력이 강하고 철분과 원소의 성질이 비슷해 우리 몸에 들어오면 철분의 자리를 빼앗는다. 체내에 축적되면 빈혈과 어지럼증이 생기거나 신경계 이상으로 손발이 떨리고, 뼈가 약해지는 골연화증, 골다공증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피부 알레르기, 기억력 감퇴를 일으키며 최근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알루미늄 수치가 높게 나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멜라닌 수지 그릇

약 100도 이상의 온도에서 환경호르몬 검출 우려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원료로 사용한 포름알데히드 발생 가능

산 성분에 약해 식초나 간장을 오랜 기간 보관할 경우 위험물질 발생

부서지거나 긁힌 경우 멜라닌 검출 우려

장기간 섭취할 경우 신장의 소변이 지나가는 작은 관을 막게 되고 이것이 소변의 생성을 막아 신장염, 신장결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어떤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동물실험에서 멜라닌은 암유발효과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플라스틱 식기

플라스틱 식기로 쓰이는 원료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카보네이트

용기가 투명하면 폴리카보네이트, 투명하지 않으면 폴리프로필렌으로 구별

폴리프로필렌은 괜찮으나 젖병, 접시, 전자레인지용 식기 및 저장 용기에 쓰이는 폴리카보네이트에는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 A 함유

열이 가해질 때 녹아나오며, 그 외 기름, 식초, 알코올에 잘 녹아 나옴.

비스페놀 A는 비만, 기억력 저하, 집중력 저하, 과잉행동을 유발하기도 하며, 갑상선 호르몬 분비에 교란을 준다.

또한 정자 수의 감소나 여성화 같은 문제가 나타날 수 있으며, 신경세포암, 유방암, 전립선암을 유발할 수 있다.

제품의 광택을 높이기 위해 일반유리에 산화납이 첨가

최근에는 산화납 대신 산화바륨, 산화티타늄 등이 배합되어 성형

크리스털 유리 용기에 장기간 음식물을 담아 둘 경우, 제조시 사용된 원료물질 또는 불순물에서 기인한 납 성분이 용기에서 우러날 우려

식기세척기용 세척제는 크리스탈 유리용기의 표면 손상

유리 식기

낮은 농도의 납에 오랜 시간 동안 노출된다면 증상이 생기기까지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릴 수 있다.

복부 통증, 변비 등이 가장 흔한 형태의 증상이며, 식욕부진, 현기증, 구토, 체중 감소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근육의 쇠약이나 마비 증상이 생길 수도 있으며 그 외에 관절통, 권태감, 불면증, 어지러움 등의 증상

프라이팬을 편리하게 사용하게 해주는 코팅은 벗겨진 상태로 고온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금속 성분을 나오게 한다.

테프론 프라이팬

특히 빙초산, 육류 등 산성 식품을 낡은 프라이팬으로 조리할 때 더 많은 금속성분 검출 우려

프라이팬에서 나온 중금속은 뇌, 전립선, 간, 흉선, 신장과 같은 기관에 심각한 변화를 초래하며, 실험에서 어린 쥐는 사망에 이름.

니켈 전자 주전자

물을 담아 놓고 가열을 반복하면 니켈 성분 용출

남은 물에도 농축될 수 있으므로 한번 사용할 분량의 물만 끓여서 사용하고 주전자에 오래 넣어둔 물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니켈은 뇌세포퇴화, 폐의 부기와 출혈, 심장병, 기관지암 등을 유발

민감한 사람들의 경우에는 소량 섭취에도 습진이나 피부염 유발

_SLIDE_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자료 (압축파일).zip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