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 4일 월요일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제품분석과 설화수 중국진출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설화수 향후전망분석 다운로드 - A++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2074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제품분석과 설화수 중국진출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설화수 향후전망분석 다운로드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제품분석과 설화수 중국진출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설화수 향후전망분석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제품분석과 설화수 중국진출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설화수 향후전망분석

설화수 중국시장진출

마케팅전략 연구

INDEX

1.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선정배경

2. 아모레퍼시픽 기업 History

3. 중국내 화장품시장 상황분석

4. 설화수 중국시장내 SWOT분석(1) Strength 강점

(2) Weakness 약점

(3) Opportunity 기회

(4) Threat 위협

5. 설화수 STP 분석

(1) Segmentation (시장세분화)

(2) Targeting (타겟팅)

(3) Positioning (포지셔닝)

6. 설화수 중국시장 마케팅믹스 4P전략

(1) Product (제품전략)

(2) Price (가격전략)(3) Place (유통전략)

(4) Promotion (촉진전략)

7. 결론 및 향후전망

1.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선정배경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 항상 "최초, 최고"라는 수식어가 붙는 아모레 퍼시픽 항상 고객에 게 다가서는 신선한 마케팅과 끊임없는 R&D를 통...

설화수 중국시장진출

마케팅전략 연구

INDEX

1.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선정배경

2. 아모레퍼시픽 기업 History

3. 중국내 화장품시장 상황분석

4. 설화수 중국시장내 SWOT분석(1) Strength 강점

(2) Weakness 약점

(3) Opportunity 기회

(4) Threat 위협

5. 설화수 STP 분석

(1) Segmentation (시장세분화)

(2) Targeting (타겟팅)

(3) Positioning (포지셔닝)

6. 설화수 중국시장 마케팅믹스 4P전략

(1) Product (제품전략)

(2) Price (가격전략)(3) Place (유통전략)

(4) Promotion (촉진전략)

7. 결론 및 향후전망

1.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선정배경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 항상 "최초, 최고"라는 수식어가 붙는 아모레 퍼시픽 항상 고객에 게 다가서는 신선한 마케팅과 끊임없는 R&D를 통한 신제품 개발을 해왔던 아모레퍼시픽은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자랑스러운 한국 표 화장품 브랜드이다.

현재 글로벌시대에 맞추어 아모레퍼시픽의 성장은 세계 어느 기업들과 비교를 하였을 때에도 뒤처지지 않을 정도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에서 화장품 판매율은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음은 물론이고 이제 세계 시장까지 노리며 아모레퍼시픽은 글로벌 TOP10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런 아모레퍼시픽의 마케팅 전략을 알고 나아가 보완할 점을 찾아보기위해 이 기업을 선정하게 되었으며 아모레퍼시픽은 이미 국내뿐아니라 해외에서도 많은 성공을 보이고 있는데 그 중 넓은 시장으로 앞으로도 더욱 발전가능성이 높은 나라인 중국에 마케팅성공사례를 조사해보았다.

2. 아모레퍼시픽 기업 History

- 1945. 09 태평양 화학 공업사 창립

- 1964. 08 국내최초로 화장품 수출(오스카 브랜드)

- 1964. 09 아모레 브랜드 발매(방판시작-화장품아줌마)

- 1987. 06 태평양 화학㈜ 상호변경

- 1991. 10 마몽드 브랜드 발매

- 1993. 03 ㈜태평양으로 상호 변경

- 1995. 10 헤라 브랜드 발매

- 1996. 10 아이오페 브랜드 발매

- 1997. 01 로리타 렘피카 브랜드 프랑스에서 발매

- 1997. 04 설화수 브랜드 발매

- 2000. 01 미장센 브랜드 발매

- 2000. 01 이니스프리 브랜드 발매

- 2002. AMOREPACIFIC 공표

- 2004. 07 휴플레이스 (전문점)

- 2005. 09 창립 60주년

- 2006. 01 이니스프리 허브스테이션 오픈

- 2012년 화장품부문 매출액은 2조4120억원으로 31.6%의 국내 시장점유율을 기록.

- 현재 6개 해외법인(프랑스, 미국, 중국, 일본 등)을 통한 활발한 해외진출

- 매출액 기준 세계 16위의 화장품 업체

- 현재 아모레퍼시픽은 '2015년 글로벌 TOP 10'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프랑스와 중국, 미국 등 3대 축을 중심으로 해외사업에 매진

3. 중국내 화장품시장 상황분석

- 중국 화장품 관리제도

중국 정부는 화장품을 '인체 표면의 각 부위(피부, 모발, 손톱, 입술 등)에 바르거나 뿌리는 등 유사한 방법으로 청결과 악취제거, 피부보호, 미용 그리고 멋을 부리는 목적을 이루기 위한 일상용 화학공업 제품'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중국은 화장품을 국내 생산품과 수입품으로 구분하고, 일반용도 화장품과 특수용도 화장품으로 구분해 각기 다른 관리규정을 두고 있다. 모든 수입화장품은 반드시 위생부 허가를 받아야 판매를 할 수 있으나 중국 내 생산품 중 일반용도 화장품은 그렇지 않다. 수입화장품은 위생부에서 직접 심사하여 허가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또한 특수용도 화장품은 성, 시 등 지방정부에서 초심을 거쳐 위생부에서 심사를 통해 허가를 받아야 내수판매를 할 수 있다.

- 중국 화장품 관리제도 체계

중국의 화장품 관리는 국무원 위생부와 국가품질감독검사검역총국,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 등 3곳에서 실시하고 있다.

화장품 관리업무의 핵심적인 부서는 위생부로 1989년 11월 공포한 화장품위생감독조례와 그 실행 세칙에 따라 관리하고 있다. 화장품위생감독조례는 화장품 관련 감독 관리의 중요한 법규로서 위생행정 부문의 화장품 감독관리 직능이 규정되어 있다. 주요 내용은 화장품 제조업체에 대한 위생 규범, 화장품 위생 규범, 화장품 등록과 수리, 국내에서 처음 사용하는 신 원료에 대한 심의허가 등 핵심적인 사항을 포괄하고 있다.

국가품질감독검사검역총국은 화장품 생산 위생허가증 관리와 화장품 제품 생산 허가증 교환(발급) 실시 세칙, 소비자 제품 사용 설명(화장품 통합 라벨), 수입화장품 감독검사관리 방법, 화장품업계 기준 등의 업무를 실시하고 있다. 중국 화장품 생산기업의 위생허가증 관리는 1987년부터 실시되었으며, 1988년 1월 1일부터 생산 허가증을 받지 못하면 화장품을 생산할 수 없다. 생산허가증의 유효기간은 4년이고 매 2년마다 성국에서 재심을 받아야 한다.

화장품 통용 라벨은 국산 화장품과 수입화장품의 표기 내용이 다른데, 국산 화장품은 제품명칭과 순 함량, 제조자 명칭, 제조자 주소, 생산날짜(혹은 생산번호), 품질보증기간(혹은 사용기한), 제품표준번호, 위생허가증번호, 생산허가증번호, 사용방법, 주의사항 등을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수입화장품은 제품명칭(중문), 제조자 명칭(외국어 가능), 제조국가(외국어 가능), 제조자 주소(외국어 가능), 순 함량, 허가번호(혹은 생산날짜), 사용기한 날짜(혹은 품질보증기간), 수입화장품 위생허가번호, 총판매상, 총판매상 주소, 사용방법, 주의사항 등을 표기해야 한다.

수입화장품 감독검사 관리 방법은 수입화장품의 검사관리 내용을 규정하고 있는데, 수입, 수출화장품 라벨 심사와 수입, 수출화장품 검사, 수입, 수출화장품 후속 감독관리 등 3가지를 집중적으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자료 (압축파일).zip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