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 4일 월요일

e-비즈니스)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하시오. 이 경우에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 등을 모두 다루어야 하며, 가장 근원적인 주소인 물리적 주소로부터 DownLoad - 보도자료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2078
e-비즈니스)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하시오. 이 경우에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 등을 모두 다루어야 하며, 가장 근원적인 주소인 물리적 주소로부터 DownLoad

e-비즈니스)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하시오. 이 경우에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 등을 모두 다루어야 하며, 가장 근원적인 주소인 물리적 주소로부터

e-비즈니스)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하시오. 이 경우에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 등을 모두 다루어야 하며, 가장 근원적인 주소인 물리적 주소로부터

방송통신대학교 e-비즈니스

중간과제물

e-비즈니스 공통

1. 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하시오. 이 경우에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 등을 모두 다루어야 하며, 가장 근원적인 주소인 물리적 주소로부터 가장 사용자 친화적인 논리적 주소까지의 관계를 기술하여야 합니다. (20점).

2. 아래 각 용어들에 대하여 약자를 풀어 쓰시오. (10점)

(1) TCP/IP

(2) FTTH

(3) RSS

(4) PG (전자결제 분야)

(5) EFT

(과제물은 A4 용지 2매 분량으로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이 경우 표지를 제외한 분량으로 A4 용지 2매 분량으로 작성하여야 합니다.)

목차

1. 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하시오. 이 경우에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 등을 모두 다루어야 하며, 가장 근원적인 주소인 물리적 주소로부터 가장 사용자 친화적인 논리적 주소까지의 관계를 기술하여야 합니다.

...방송통신대학교 e-비즈니스

중간과제물

e-비즈니스 공통

1. 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하시오. 이 경우에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 등을 모두 다루어야 하며, 가장 근원적인 주소인 물리적 주소로부터 가장 사용자 친화적인 논리적 주소까지의 관계를 기술하여야 합니다. (20점).

2. 아래 각 용어들에 대하여 약자를 풀어 쓰시오. (10점)

(1) TCP/IP

(2) FTTH

(3) RSS

(4) PG (전자결제 분야)

(5) EFT

(과제물은 A4 용지 2매 분량으로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이 경우 표지를 제외한 분량으로 A4 용지 2매 분량으로 작성하여야 합니다.)

목차

1. 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하시오. 이 경우에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 등을 모두 다루어야 하며, 가장 근원적인 주소인 물리적 주소로부터 가장 사용자 친화적인 논리적 주소까지의 관계를 기술하여야 합니다.

I. IP주소체계

II. IP주소와 도메인 이름

1. 도메인 이름과 구성체계

2.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3. 국가 최상위 도메인(nTLD)

4. 멀티도메인

5. 도메인 네임서버

III. MAC주소

2. 아래 각 용여들에 대하여 약자를 풀어쓰시오.

(1) TCP/IP

(2) FTTH

(3) RSS

(4) PG(전자결제 분야)

(5) EFT

참고문헌

1. 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하시오. 이 경우에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 등을 모두 다루어야 하며, 가장 근원적인 주소인 물리적 주소로부터 가장 사용자 친화적인 논리적 주소까지의 관계를 기술하여야 합니다.

I. IP주소체계

인터넷에 접속된 수많은 컴퓨터에 할당된 IP주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는 주소체계가 필요하다. 숫자로 주어지는 IP주소는 4개의 필드를 이용해서 표시하고, 각 필드에 8비트씩 할당해 총 32비드가 사용된다. 각 필드는 점(.)으로 구분되고, 각 필드마다 8비트가 사용되므로 각각 0에서 255까지의 숫자를 나타낼 수 있다. 효율적인 운용과 관리를 위해 32비트의 길이를 가지는 IP주소를 네트워크 주소부분과 호스트 컴퓨터 주소부분으로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IP의 전체 주소공간을 소속 네트워크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A~E급으로 분할하는데, 이중 D급과 E급은 각각 IP멀티캐스팅용과 실험용으로 사용을 유보하고 있고, A~C급이 사용되고 있다. 보통은 B급과 C급이 사용되므로, IP주소의 4필드 중 앞의 두 필드 혹은 세 필드가 네트워크 주소로서 특정기관의 네트워크를 표시한다.

A급 주소체계는 최상위 첫 번째 비트가 0인 것으로, 1.0.0.0 ~ 127.0.0.0의 범위이고, 점으로 구분되는 4개의 필드 중, 첫 번째 필드의 나머지 7비트가 A급 네트워크의 주소로 사용되고, 다음 3개의 필드는 연결된 컴퓨터의 주소로 사용된다.

B급 주소체계는 최상위 두 비트가 10인 것으로, 128.0.0.0 ~ 191.255.0.0의 범위이고, 점으로 구분되는 4개의 필드 중 두 번째 필드까지가 B급 네트워크의 주소로 쓰이며, 다음 2개의 필드는 연결된 각 컴퓨터의 주소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C급 주소체계는 최상위 세 비트가 110인 것으로, 192.0.0.0 ~ 223.255.0.0의 범위이고, 점으로 구분되는 4개의 필드 중, 세 번째 필드까지가 하위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마지막 1개의 필드가 연결된 각 컴퓨터의 주소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II. IP주소와 도메인 이름

1. 도메인 이름과 구성체계

DNS(도메인 이름체계)는 인터넷의 도메인 이름을 계층적 구조를 가진 분산데이터베이스 체계로 관리한다. 즉,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모든 도메인 이름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총괄하지 않고, 계층구조에 따라서 적절한 규모의 데이터베이스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불리우는 도메인 이름은, 엄격히 말해서 도메인과 호스트 컴퓨터 이름이 합쳐진 것을 말한다. 인터넷 상에서 모든 도메인은 트리형태의 계층구조를 가지는데, 루트노드 아래에 최상위 도메인이 존재하고, 다음 단계는 2단계 도메인이라고 한다. 최상위 도메인은 인터넷의 초창기부터 사용되는 7개의 일반 최상위 도메인과 인터넷의 국제적 이용이 확산되면서 각 국가를 나타내는 국가 최상위 도메인의 두 종류가 있다. gTLD로는 com, net, org, edu, mil, int, gov가 사용되고 있고, nTLD는 ISO3166에서 각 국가별로 두 가지의 영문약자를 대응하여 약 190개 국가를 지정하고 있다.

2.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일반 최상위 도메인은 기관유형 및 기관명을 나타내는 2단계로 구성되어 있고, 맨 앞에 호스트명이 붙는다. 각 도메인은 NIC에서 관리하고 있는데, 일반 최상위 도메인은 미국의 InterNIC의 루트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다.

초기에는 최상위 도메인으로 아래의 표와 같이 7개의 gTLD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분류체계로 인하여 도메인 이름만으로도 호스트가 소속된 조직의 유형을 알 수 있다.

edu

교육기관

com

상업적 회사나 기업체

gov

정부기관(국방 제외)

int

국제기구

mil

미국 국방성기구

net

네트워크 관련기관

org

특수 사설기관

인터넷 이용의 확산은 IP주소의 부족뿐만 아니라, gTLD의 세부적인 분류가 필요하게 되었다. 즉,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전자상거래활동이 활발해지고, 각종 동호회모임 등을 com과 org만으로 표기하면, 조직의 성격을 제대로 보이기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IANA의 하부기구인 인터넷 특별 주소위원회에서는 2001년 7개의 도메인을 gTLD에 추가했고, 필요에 따라서 더 추가하기로 결정했다. 새로 확장된 도메인의 등록은 전세계 모든 기관에 개방되어 있다. 아래의 표는 새로 확장된 gTLD를 분류하였다.

aero

항공운송산업 사업자 또는 기관

biz

일반 비즈니스

coop

협동조합

자료 (압축파일).zip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