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사드와 한반도 평화 에세이 Up 에세이 사드와 한반도 평화 에세이에세이 사드와 한반도 평화 에세이에세이 : 기술과 전쟁_사드와 한반도 평화 [1948년, 세계과학자연맹의 과학자 헌장 요약]"과학자라는 직업에는, 시민이 일반적인 의무에 대해 지는 책임 외에 특수한 책임이 따른다. "특히 과학자는 대중이 가까이 하기 어려운 지식을 갖고 있든가 또는 그것을 쉽게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지식이 선용되도록 전력을 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과학자는 과학사회세계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1. 과학에 대하여 - 과학자는 과학 연구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과학적 지식의 억압과 왜곡에 대해 저항하며, 과학적 성과를 완전히 공표해야 한다. 2. 사회에 대하여 - 과학자는 자신의 분야가 당면한 경제적사회적정치적 문제들에 대하여 지니는 의미를 연구하고, 모든 지역의 생활 여건과 노동 조건을 평등하게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척시켜야 하며, 그러한 지식이 실행에 옮겨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3. 세계에 대하여 - 과학자는 자신의 노력이 전쟁 준비의 방향...에세이 : 기술과 전쟁_사드와 한반도 평화 [1948년, 세계과학자연맹의 과학자 헌장 요약]"과학자라는 직업에는, 시민이 일반적인 의무에 대해 지는 책임 외에 특수한 책임이 따른다. "특히 과학자는 대중이 가까이 하기 어려운 지식을 갖고 있든가 또는 그것을 쉽게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지식이 선용되도록 전력을 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과학자는 과학사회세계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1. 과학에 대하여 - 과학자는 과학 연구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과학적 지식의 억압과 왜곡에 대해 저항하며, 과학적 성과를 완전히 공표해야 한다. 2. 사회에 대하여 - 과학자는 자신의 분야가 당면한 경제적사회적정치적 문제들에 대하여 지니는 의미를 연구하고, 모든 지역의 생활 여건과 노동 조건을 평등하게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척시켜야 하며, 그러한 지식이 실행에 옮겨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3. 세계에 대하여 - 과학자는 자신의 노력이 전쟁 준비의 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에 대하여 반대해야 하며, 평화를 위해 안정된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는 세력을 지원해야 한다. 기계공학부201220030이승준화B 목A반사드에 대한 에세이를 쓰기위해 인터넷 기사와 대중들의 글 댓글을 여러모로 살펴보았다. 주목할 점이 있었는데 사드를 검색을 해보면 뒤따라오는 AIIB라는 것이 있었다. 연관 검색어에도 등록이 되어있고 수많은 사람들 입에서 AIIB가 말해지고 있었다. AIIB는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는 세계은행과 아시아개발은행 (ADB)등에 대항하기 위해 중국의 주도로 설립되는 은행으로 아시아태평양지역 개발도상국의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63748&cid=43659&categoryId=43659 20150329) AIIB는 시진핑 중국 주석이 여러 나라를 순방하며 제안한 것으로 2015년 말 출범예정이다. 약 500억 달러 규모로 출범하여 참여 국가들로부터 출자를 받아 자본금을 1000억 달러까지 늘린다고 한다. 그렇다면 국제은행 AIIB와 사드는 도대체 무슨 관계일까 미국과 중국은 세계 1,2위를 다투고 있는 강대국들이다. 현재 수많은 국제은행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세계 2위라는 중국이 주도하는 국제은행은 없는 상황이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세계를 제패하기 위해선 세계경제를 틀어잡는 것이 필수이다. 작년에 미국은 셰일오일 수출로 세계유가를 급감시키는데 성공했다. 이로 인해 국가의 수입의 대부분을 원유로 의지하는 중동국가들, 러시아 등이 엄청난 경제적인 타격을 입었다. 세계의 장악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미국은 유가하가이하는 경제적 조치를 취한 것이다. 다시 AIIB를 살펴보자 세계 2위의 중국이 AIIB를 출범시켜 은행지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면 중국의 세계경제에 영향력이 커지는 셈이고 이것은 당연히 미국이 바라는 바가 아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3월 26일 중국에 AIIB에 가입의사를 밝혔다. 미국은 당연히 우방국가가 중국의 국익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원하지 않을 것이고 세계시장을 자기 마음대로 움직이다 이에 대항하는 금융시장이 생겼으니 이를 막으려고 했으나 프랑스 영국 등 세계 여러 국가의 의견이 AIIB에 가입한다는 쪽으로 기울자 어쩔 수없이 AIIB에 반대하는 입장을 바꿨다. 미국은 중국과 한국의 몇 년전부터 지속된 우호적인 기류를 감지했고 이번 AIIB가입 건을 지켜보다 한반도 사드배치라는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미국이 중국을 견제할 것이면 대만, 일본에다 사드를 배치 할 수도 있는데 굳이 한국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일까 아마도. 중국에 대한 견제의 메시지를 보냄과 동시에 한국에 영향력을 행사해 한미관계를 굳건히 하려는 생각일 것이다. 사드는 명목상으론 북한의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방어한다는 개념이다. 하지만 사드에 사용되는 AN/TPY-2 레이더의 최대 탐지거리가 2000km인 것을 본다면 한국에 사드를 배치한다는 것은 중국을 견제한다는 의미가 더 클 것이다. (20150327)이러한 중, 한 ,미 관계 속에서 우리는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 것인가 오랜 시간 동안 우리의 우방이었던 미국의 손을 번쩍 들어줘야 하는가 아니면 신흥강자인 중국과 악수를 해야 하는 것인가 마치 이혼한 부모사이에 낀 자식 같은 모습인 것 같다. 사드를 수용하면 우리나라 수출량 1위의 중국의 눈살이 무섭고 거부하자니 미국의 입김이 너무 뜨거운 것이다. 그렇다면 두 나라의 입장을 고려하며 사드배치의 전략을 짜야 할 것이다. 과거 고대시대 땐 국가의 노동의 중심은 노예였고 국가가 계속 살아남고 지속되기 위해선 노예가 끊임없이 필요했다. 따라서 노예를 구하러 정복전쟁을 일으키곤 했다. 지금도 노예라는 말만 경제로 바꾸면 이와 똑같다고 볼 수 있다. 지금은 경제력이 국가의 흥망을 결정한다. 작년 미국이 유가를 낮췄던 것 만 봐도 알 수 있다. 경제권을 잡기위해 다른 나라에 가서 전쟁을 일으키고 우방 국가에게 자신의 요구사항을 강하게 전달한다. 중국도 AIIB를 통해 세계 경제의 패권을 잡아가려고 하고 있다. 두 국가 모두 그것이 다른 나라에 득이 되는지 해가 되는지는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오로지 자기의 국익을 위한 것이다. 이처럼 세계는 몇 천년 전과 지금이나 큰 맥락은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섣불리 사드배치를 논의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미국과 중국 어느 한쪽도 쉽게 무시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지금은 상황을 지켜보면서 어떻게 하면 우리나라 국익에 도움이 될지 생각해야한다. 일각에선 어서 빨리 사드를 도입해야한다고 우리가 나서야 한다는 소리를 하는 사람이 있다. 물론 시드를 배치한다면 국가 방위에 매우 큰 도움이 되겠지만 우리가 먼저 원하는 입장이 된다면 사드를 배치하는데 필요한 약 4조원 정도의 비용을 상당수 부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는 직설적으로 미국의 편을 드는 입장을 취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중국이 가만히 있을 리가 없을 것이다. 한국에 대한 경제적인 조치를 취하던지 국제적으로 압박을 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우리가 앞장서서
2016년 4월 4일 월요일
에세이 사드와 한반도 평화 에세이 Up - NeedReport.com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2090
에세이 사드와 한반도 평화 에세이 Up 에세이 사드와 한반도 평화 에세이에세이 사드와 한반도 평화 에세이에세이 : 기술과 전쟁_사드와 한반도 평화 [1948년, 세계과학자연맹의 과학자 헌장 요약]"과학자라는 직업에는, 시민이 일반적인 의무에 대해 지는 책임 외에 특수한 책임이 따른다. "특히 과학자는 대중이 가까이 하기 어려운 지식을 갖고 있든가 또는 그것을 쉽게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지식이 선용되도록 전력을 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과학자는 과학사회세계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1. 과학에 대하여 - 과학자는 과학 연구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과학적 지식의 억압과 왜곡에 대해 저항하며, 과학적 성과를 완전히 공표해야 한다. 2. 사회에 대하여 - 과학자는 자신의 분야가 당면한 경제적사회적정치적 문제들에 대하여 지니는 의미를 연구하고, 모든 지역의 생활 여건과 노동 조건을 평등하게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척시켜야 하며, 그러한 지식이 실행에 옮겨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3. 세계에 대하여 - 과학자는 자신의 노력이 전쟁 준비의 방향...에세이 : 기술과 전쟁_사드와 한반도 평화 [1948년, 세계과학자연맹의 과학자 헌장 요약]"과학자라는 직업에는, 시민이 일반적인 의무에 대해 지는 책임 외에 특수한 책임이 따른다. "특히 과학자는 대중이 가까이 하기 어려운 지식을 갖고 있든가 또는 그것을 쉽게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지식이 선용되도록 전력을 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과학자는 과학사회세계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1. 과학에 대하여 - 과학자는 과학 연구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과학적 지식의 억압과 왜곡에 대해 저항하며, 과학적 성과를 완전히 공표해야 한다. 2. 사회에 대하여 - 과학자는 자신의 분야가 당면한 경제적사회적정치적 문제들에 대하여 지니는 의미를 연구하고, 모든 지역의 생활 여건과 노동 조건을 평등하게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척시켜야 하며, 그러한 지식이 실행에 옮겨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3. 세계에 대하여 - 과학자는 자신의 노력이 전쟁 준비의 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에 대하여 반대해야 하며, 평화를 위해 안정된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는 세력을 지원해야 한다. 기계공학부201220030이승준화B 목A반사드에 대한 에세이를 쓰기위해 인터넷 기사와 대중들의 글 댓글을 여러모로 살펴보았다. 주목할 점이 있었는데 사드를 검색을 해보면 뒤따라오는 AIIB라는 것이 있었다. 연관 검색어에도 등록이 되어있고 수많은 사람들 입에서 AIIB가 말해지고 있었다. AIIB는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는 세계은행과 아시아개발은행 (ADB)등에 대항하기 위해 중국의 주도로 설립되는 은행으로 아시아태평양지역 개발도상국의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63748&cid=43659&categoryId=43659 20150329) AIIB는 시진핑 중국 주석이 여러 나라를 순방하며 제안한 것으로 2015년 말 출범예정이다. 약 500억 달러 규모로 출범하여 참여 국가들로부터 출자를 받아 자본금을 1000억 달러까지 늘린다고 한다. 그렇다면 국제은행 AIIB와 사드는 도대체 무슨 관계일까 미국과 중국은 세계 1,2위를 다투고 있는 강대국들이다. 현재 수많은 국제은행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세계 2위라는 중국이 주도하는 국제은행은 없는 상황이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세계를 제패하기 위해선 세계경제를 틀어잡는 것이 필수이다. 작년에 미국은 셰일오일 수출로 세계유가를 급감시키는데 성공했다. 이로 인해 국가의 수입의 대부분을 원유로 의지하는 중동국가들, 러시아 등이 엄청난 경제적인 타격을 입었다. 세계의 장악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미국은 유가하가이하는 경제적 조치를 취한 것이다. 다시 AIIB를 살펴보자 세계 2위의 중국이 AIIB를 출범시켜 은행지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면 중국의 세계경제에 영향력이 커지는 셈이고 이것은 당연히 미국이 바라는 바가 아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3월 26일 중국에 AIIB에 가입의사를 밝혔다. 미국은 당연히 우방국가가 중국의 국익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원하지 않을 것이고 세계시장을 자기 마음대로 움직이다 이에 대항하는 금융시장이 생겼으니 이를 막으려고 했으나 프랑스 영국 등 세계 여러 국가의 의견이 AIIB에 가입한다는 쪽으로 기울자 어쩔 수없이 AIIB에 반대하는 입장을 바꿨다. 미국은 중국과 한국의 몇 년전부터 지속된 우호적인 기류를 감지했고 이번 AIIB가입 건을 지켜보다 한반도 사드배치라는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미국이 중국을 견제할 것이면 대만, 일본에다 사드를 배치 할 수도 있는데 굳이 한국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일까 아마도. 중국에 대한 견제의 메시지를 보냄과 동시에 한국에 영향력을 행사해 한미관계를 굳건히 하려는 생각일 것이다. 사드는 명목상으론 북한의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방어한다는 개념이다. 하지만 사드에 사용되는 AN/TPY-2 레이더의 최대 탐지거리가 2000km인 것을 본다면 한국에 사드를 배치한다는 것은 중국을 견제한다는 의미가 더 클 것이다. (20150327)이러한 중, 한 ,미 관계 속에서 우리는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 것인가 오랜 시간 동안 우리의 우방이었던 미국의 손을 번쩍 들어줘야 하는가 아니면 신흥강자인 중국과 악수를 해야 하는 것인가 마치 이혼한 부모사이에 낀 자식 같은 모습인 것 같다. 사드를 수용하면 우리나라 수출량 1위의 중국의 눈살이 무섭고 거부하자니 미국의 입김이 너무 뜨거운 것이다. 그렇다면 두 나라의 입장을 고려하며 사드배치의 전략을 짜야 할 것이다. 과거 고대시대 땐 국가의 노동의 중심은 노예였고 국가가 계속 살아남고 지속되기 위해선 노예가 끊임없이 필요했다. 따라서 노예를 구하러 정복전쟁을 일으키곤 했다. 지금도 노예라는 말만 경제로 바꾸면 이와 똑같다고 볼 수 있다. 지금은 경제력이 국가의 흥망을 결정한다. 작년 미국이 유가를 낮췄던 것 만 봐도 알 수 있다. 경제권을 잡기위해 다른 나라에 가서 전쟁을 일으키고 우방 국가에게 자신의 요구사항을 강하게 전달한다. 중국도 AIIB를 통해 세계 경제의 패권을 잡아가려고 하고 있다. 두 국가 모두 그것이 다른 나라에 득이 되는지 해가 되는지는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오로지 자기의 국익을 위한 것이다. 이처럼 세계는 몇 천년 전과 지금이나 큰 맥락은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섣불리 사드배치를 논의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미국과 중국 어느 한쪽도 쉽게 무시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지금은 상황을 지켜보면서 어떻게 하면 우리나라 국익에 도움이 될지 생각해야한다. 일각에선 어서 빨리 사드를 도입해야한다고 우리가 나서야 한다는 소리를 하는 사람이 있다. 물론 시드를 배치한다면 국가 방위에 매우 큰 도움이 되겠지만 우리가 먼저 원하는 입장이 된다면 사드를 배치하는데 필요한 약 4조원 정도의 비용을 상당수 부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는 직설적으로 미국의 편을 드는 입장을 취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중국이 가만히 있을 리가 없을 것이다. 한국에 대한 경제적인 조치를 취하던지 국제적으로 압박을 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우리가 앞장서서
자료 (압축파일).zip
에세이 사드와 한반도 평화 에세이 Up 에세이 사드와 한반도 평화 에세이에세이 사드와 한반도 평화 에세이에세이 : 기술과 전쟁_사드와 한반도 평화 [1948년, 세계과학자연맹의 과학자 헌장 요약]"과학자라는 직업에는, 시민이 일반적인 의무에 대해 지는 책임 외에 특수한 책임이 따른다. "특히 과학자는 대중이 가까이 하기 어려운 지식을 갖고 있든가 또는 그것을 쉽게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지식이 선용되도록 전력을 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과학자는 과학사회세계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1. 과학에 대하여 - 과학자는 과학 연구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과학적 지식의 억압과 왜곡에 대해 저항하며, 과학적 성과를 완전히 공표해야 한다. 2. 사회에 대하여 - 과학자는 자신의 분야가 당면한 경제적사회적정치적 문제들에 대하여 지니는 의미를 연구하고, 모든 지역의 생활 여건과 노동 조건을 평등하게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척시켜야 하며, 그러한 지식이 실행에 옮겨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3. 세계에 대하여 - 과학자는 자신의 노력이 전쟁 준비의 방향...에세이 : 기술과 전쟁_사드와 한반도 평화 [1948년, 세계과학자연맹의 과학자 헌장 요약]"과학자라는 직업에는, 시민이 일반적인 의무에 대해 지는 책임 외에 특수한 책임이 따른다. "특히 과학자는 대중이 가까이 하기 어려운 지식을 갖고 있든가 또는 그것을 쉽게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지식이 선용되도록 전력을 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과학자는 과학사회세계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1. 과학에 대하여 - 과학자는 과학 연구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과학적 지식의 억압과 왜곡에 대해 저항하며, 과학적 성과를 완전히 공표해야 한다. 2. 사회에 대하여 - 과학자는 자신의 분야가 당면한 경제적사회적정치적 문제들에 대하여 지니는 의미를 연구하고, 모든 지역의 생활 여건과 노동 조건을 평등하게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척시켜야 하며, 그러한 지식이 실행에 옮겨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3. 세계에 대하여 - 과학자는 자신의 노력이 전쟁 준비의 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에 대하여 반대해야 하며, 평화를 위해 안정된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는 세력을 지원해야 한다. 기계공학부201220030이승준화B 목A반사드에 대한 에세이를 쓰기위해 인터넷 기사와 대중들의 글 댓글을 여러모로 살펴보았다. 주목할 점이 있었는데 사드를 검색을 해보면 뒤따라오는 AIIB라는 것이 있었다. 연관 검색어에도 등록이 되어있고 수많은 사람들 입에서 AIIB가 말해지고 있었다. AIIB는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는 세계은행과 아시아개발은행 (ADB)등에 대항하기 위해 중국의 주도로 설립되는 은행으로 아시아태평양지역 개발도상국의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63748&cid=43659&categoryId=43659 20150329) AIIB는 시진핑 중국 주석이 여러 나라를 순방하며 제안한 것으로 2015년 말 출범예정이다. 약 500억 달러 규모로 출범하여 참여 국가들로부터 출자를 받아 자본금을 1000억 달러까지 늘린다고 한다. 그렇다면 국제은행 AIIB와 사드는 도대체 무슨 관계일까 미국과 중국은 세계 1,2위를 다투고 있는 강대국들이다. 현재 수많은 국제은행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세계 2위라는 중국이 주도하는 국제은행은 없는 상황이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세계를 제패하기 위해선 세계경제를 틀어잡는 것이 필수이다. 작년에 미국은 셰일오일 수출로 세계유가를 급감시키는데 성공했다. 이로 인해 국가의 수입의 대부분을 원유로 의지하는 중동국가들, 러시아 등이 엄청난 경제적인 타격을 입었다. 세계의 장악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미국은 유가하가이하는 경제적 조치를 취한 것이다. 다시 AIIB를 살펴보자 세계 2위의 중국이 AIIB를 출범시켜 은행지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면 중국의 세계경제에 영향력이 커지는 셈이고 이것은 당연히 미국이 바라는 바가 아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3월 26일 중국에 AIIB에 가입의사를 밝혔다. 미국은 당연히 우방국가가 중국의 국익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원하지 않을 것이고 세계시장을 자기 마음대로 움직이다 이에 대항하는 금융시장이 생겼으니 이를 막으려고 했으나 프랑스 영국 등 세계 여러 국가의 의견이 AIIB에 가입한다는 쪽으로 기울자 어쩔 수없이 AIIB에 반대하는 입장을 바꿨다. 미국은 중국과 한국의 몇 년전부터 지속된 우호적인 기류를 감지했고 이번 AIIB가입 건을 지켜보다 한반도 사드배치라는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미국이 중국을 견제할 것이면 대만, 일본에다 사드를 배치 할 수도 있는데 굳이 한국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일까 아마도. 중국에 대한 견제의 메시지를 보냄과 동시에 한국에 영향력을 행사해 한미관계를 굳건히 하려는 생각일 것이다. 사드는 명목상으론 북한의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방어한다는 개념이다. 하지만 사드에 사용되는 AN/TPY-2 레이더의 최대 탐지거리가 2000km인 것을 본다면 한국에 사드를 배치한다는 것은 중국을 견제한다는 의미가 더 클 것이다. (20150327)이러한 중, 한 ,미 관계 속에서 우리는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 것인가 오랜 시간 동안 우리의 우방이었던 미국의 손을 번쩍 들어줘야 하는가 아니면 신흥강자인 중국과 악수를 해야 하는 것인가 마치 이혼한 부모사이에 낀 자식 같은 모습인 것 같다. 사드를 수용하면 우리나라 수출량 1위의 중국의 눈살이 무섭고 거부하자니 미국의 입김이 너무 뜨거운 것이다. 그렇다면 두 나라의 입장을 고려하며 사드배치의 전략을 짜야 할 것이다. 과거 고대시대 땐 국가의 노동의 중심은 노예였고 국가가 계속 살아남고 지속되기 위해선 노예가 끊임없이 필요했다. 따라서 노예를 구하러 정복전쟁을 일으키곤 했다. 지금도 노예라는 말만 경제로 바꾸면 이와 똑같다고 볼 수 있다. 지금은 경제력이 국가의 흥망을 결정한다. 작년 미국이 유가를 낮췄던 것 만 봐도 알 수 있다. 경제권을 잡기위해 다른 나라에 가서 전쟁을 일으키고 우방 국가에게 자신의 요구사항을 강하게 전달한다. 중국도 AIIB를 통해 세계 경제의 패권을 잡아가려고 하고 있다. 두 국가 모두 그것이 다른 나라에 득이 되는지 해가 되는지는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오로지 자기의 국익을 위한 것이다. 이처럼 세계는 몇 천년 전과 지금이나 큰 맥락은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섣불리 사드배치를 논의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미국과 중국 어느 한쪽도 쉽게 무시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지금은 상황을 지켜보면서 어떻게 하면 우리나라 국익에 도움이 될지 생각해야한다. 일각에선 어서 빨리 사드를 도입해야한다고 우리가 나서야 한다는 소리를 하는 사람이 있다. 물론 시드를 배치한다면 국가 방위에 매우 큰 도움이 되겠지만 우리가 먼저 원하는 입장이 된다면 사드를 배치하는데 필요한 약 4조원 정도의 비용을 상당수 부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는 직설적으로 미국의 편을 드는 입장을 취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중국이 가만히 있을 리가 없을 것이다. 한국에 대한 경제적인 조치를 취하던지 국제적으로 압박을 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우리가 앞장서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가장 많이 본 글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19510 졸업식 답사.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1478 비에스텍의 `관계 7대 원칙`에 대해 설명하시오. 다운 자료 (압축파일).zip 비에스텍의 `관계 7대 원칙`에 대해 설명하시오. ...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90609 Operations Managemen.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1574 맥도날드 기업전략과 SWOT,마케팅전략분석및 맥도날드 문제점과 해결전략제안 Report 자료 (압축파일).zip 맥도날드 기업전략과...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3242 JW메리어트호텔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메리어트호텔 마케팅전략 분석과 성공요인분석및 메리어트호텔 향후전략제안 Down 자료 (압축...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2598 IKEA 이케아 기업분석과 이케아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이케아 문제점분석과 해결전략제안 솔루션 자료 (압축파일).z...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19470 주례없는 결혼식 축사.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19802 르네상스시대 근대 정신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다운로드 자료 (압축파일).zip 르네상스시대 근대 정신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서양사 도...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19506 카피책.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분량 ...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19512 완벽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사랑.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