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 4일 월요일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을 설명하고, 서식환경에 따른 서식지 조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Down - sci논문이란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2112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을 설명하고, 서식환경에 따른 서식지 조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Down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을 설명하고, 서식환경에 따른 서식지 조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을 설명하고, 서식환경에 따른 서식지 조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방송통신대학교 숲과 삶 중간과제물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을 설명하고, 서식환경에 따른 서식지 조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목차

I.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

1. 흑기러기의 생활사와 필요한 서식지

2. 아메리카흰죽지의 특성과 서식지 조건

II. 수조류의 서식지 조성 사례

1. 서식지 조성 개요

1) A지역 : 섭금류 서식지

2) B지역 : 수금류 서식지

2. 서식지 건설

3. 물의 공급

4. 관찰시설

참고문헌

I.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

1. 흑기러기의 생활사와 필요한 서식지

흑기러기의 무게

성조 - 수컷 1,802g, 암컷 1,648g

아성조 - 수컷 1,710g, 암컷 1,456g

첫 번식 연령 : 2-4년

한배산란수 : 3.3-3.5개, 범위1-7개

포란기간 : 24일

둥지를 떠나는 연령 : 45-50일

서식환경 : 저지 해안과 침수평야에 따라 자리하는 5마일 내륙까지의 크고 얕은 못이 있는 ...

방송통신대학교 숲과 삶 중간과제물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을 설명하고, 서식환경에 따른 서식지 조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목차

I.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

1. 흑기러기의 생활사와 필요한 서식지

2. 아메리카흰죽지의 특성과 서식지 조건

II. 수조류의 서식지 조성 사례

1. 서식지 조성 개요

1) A지역 : 섭금류 서식지

2) B지역 : 수금류 서식지

2. 서식지 건설

3. 물의 공급

4. 관찰시설

참고문헌

I.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

1. 흑기러기의 생활사와 필요한 서식지

흑기러기의 무게

성조 - 수컷 1,802g, 암컷 1,648g

아성조 - 수컷 1,710g, 암컷 1,456g

첫 번식 연령 : 2-4년

한배산란수 : 3.3-3.5개, 범위1-7개

포란기간 : 24일

둥지를 떠나는 연령 : 45-50일

서식환경 : 저지 해안과 침수평야에 따라 자리하는 5마일 내륙까지의 크고 얕은 못이 있는 섬이나 반도의 화본과, 사초과 식물의 툰드라 군집

식습성 : 소량의 어류 알, 갑각류, 연체동물과 우점적으로 초본식물

2. 아메리카흰죽지의 특성과 서식지 조건

무게

성조 - 수컷 1,807g, 암컷 953g

아성조 - 수컷 953g, 암컷 862g

첫 번식 연령 : 1년 또는 2년

한배산란수 : 7-10개

포란기간 : 24-25일

둥지를 떠나는 연령 : 10-12주

서식환경 : 상록침수 식생이 자생하는 반영구 및 계절적 침수습지

식습성 : 겨울을 제외하고 잡식성.

겨울에는 가래, 나사말(자라풀과), 겨울싹 등을 먹고, 봄 여름 가을에는 괴경, 근경, 수생식생 부분, 무척추동물(곤충, 갑각류 및 연체동물)을 먹는다.

아메리카흰죽지는 북미에서 가장 흔한 잠수성 오리 5종 중의 한 종이다. 흰죽지나 만 오리와 같은 분류군에 속하며, 외형이나 행동상 큰흰죽지와 가장 유사하다. 큰 흰죽지보다는 크기가 작고, 번식이 늦으며, 남부 지역에서 월동한다. 월동지와 번식지에서 내염성은 큰흰죽지와의 차이를 보여주며, 서부 건지성 지역에서 진화적 기원을 시사해준다. 어느 수금류보다도 아메리카흰죽지의 기생성 번식은 보다 분명하다.

II. 수조류의 서식지 조성 사례

본 연구의 목표는 필요로 하는 요구조건들을 충족할 뿐 아니라 훌륭한 경관적 전망을 조성하는 데에 있다.

1) 늦여름에서 이른 겨울의 수면성 오리류의 취식서식지 조성

2) 풍부한 일년생 종자식물을 주종으로 하는 유익한 식물군집의 조성

3) 야생 오리류의 번식서식지 조성

4) 잠자리와 노니는 수금류를 위한 경관적 겨울 호수 조성

5) 고니류와 기러기류의 취식을 위한 개방수역의 조성

6) 전반적으로 수금류를 위한 목적에서만이 아닌 습지 테마의 증진

1. 서식지 조성 개요

이러한 목표들은 독립적으로 수위가 조절되는 두 개의 석호를 조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두 석호는 겨울철에도 물이 가득 채워지게 되어, 하나의 방대한 겨울 습지를 형성하게 된다.

1) A지역 : 섭금류 서식지

- 면적 : 80ha 이상, 해수 및 기수 지역

- 대상종 : 대표적 우점종

도요류 : 민물도요, 붉은어깨도요, 좀도요, 큰뒷부리도요, 흑꼬리도요, 중부리도요, 마도요 등

물떼새류 : 흰물떼새, 개꿩, 검은가슴물떼새, 검은머리물떼새 등

- 먹이 : 주요먹이 - 곤충강 파리목 및 다모강유생 깔따구과, 딱정벌레목 물진드가과, 기타

- 먹이 공급방법 : 해수유입과 수위조절로 자체공급

- 물 수위 : 5-15cm

- 물 조절 : 봄과 가을의 2회에 걸쳐서 물을 뽑는다. 시기는 3월 하순과 8월 중순이 적절하다. 그리고 11월 초순에는 물을 채운다.

- 번식 시설 : 뗏목 번식시설 - 1~2개소부터 설치하여 점차 확대시설함.

모래섬 및 자갈섬 - 모래와 자갈섬을 10~20개소 설치한다. 수개소에서 시작하여 수십 개소로 확대 실시한다.

이 지역은 두 석호 사이에 갯벌이 노출된 나지막한 자갈섬들과 깊은 물로 구성된다. 전망 및 수위 조절은 계절에 따라 다양하다. 겨울기간 동안에는 물이 가득 채워지게 되므로, 두 개의 석호가 하나가 된다. 몇몇 섬들은 겨울철 수위보다 높기 때문에, 습지식생이 무성한 섬이 되거나, 섭금류가 노니는 자갈밭이 될 수 있으며,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섬들은 갈대가 무성하여 다양한 경관을 보여준다.

이 지역은 오리류의 잠자리 뿐 아니라 고니류의 월동지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기러기류 역시 이 지역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별개의 가능성이다. 이 시스템은 식물의 종자와 무척추동물의 관점에서 볼 때 흙을 파올려 만든 지역보다도 훨씬 더 자연스러운 먹이를 제공한다.

4월이 되면 수위가 낮아져서 두 석호 사이의 제방이 노출되며, 섬 사이의 갯벌과 자갈섬들이 모습을 드러낸다. 이 섬들에서는 오리류와 물떼새류 또는 쇠제비갈매기 등의 종이 번식도 하게 된다. 여름 동안에는 계속 낮은 수위가 유지되며, 섬에서는 일 년생식물들이 급속하게 성장하여 군집을 이루게 되고, 부화한 새끼는 이곳의 은폐장소에서 생활하게 된다.

새끼들이 모두 성장하는 7월 초순에 때로는 수위를 20cm정도까지 높인다. 이때의 침수는 수주일 간 낮은 섬들을 뒤덮게 된다. 이 시기에는 모든 식물의 성장이 억제되며, 갯벌에서 파올려 만든 섬의 식생의 군집화를 막는다. 이때 이 지역은 오리류 새끼들의 가장 혹독한 시기에 풍부한 무척추동물을 제공한다. 8월이 되면 북녘의 섭금류가 도래하기 시작하므로, 수위를 낮추어 많은 다양한 종을 부양하기 위한 최적의 취식조건을 유지한다. 10월 이후에는 수위를 다시 점차 높여 12월까지는 B지역과 연결시키고 방대한 겨울 습지를 만든다.

2) B지역 : 수금류 서식지

면적 : 40ha 이상 담수지역

대상종 : 수면성 오리와 기러기 및 고니류

대표종 :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쇠오리, 고방오리, 흑부리오리 등

주요 먹이

- 청둥오리 : 환형동물, 곤충류, 복족류, 식물, 초본류 종자, 낟알 등

- 고방오리 : 환형동물, 소형새우류

자료 (압축파일).zip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