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3일 수요일

사람의 생리 기능,생명의 경외로움,인공장기,줄기세포,호르몬요법,인간의 생리기능 통제와 조절.동물장기 Up - 고등학생논문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6094
사람의 생리 기능,생명의 경외로움,인공장기,줄기세포,호르몬요법,인간의 생리기능 통제와 조절.동물장기 Up

사람의 생리 기능,생명의 경외로움,인공장기,줄기세포,호르몬요법,인간의 생리기능 통제와 조절.동물장기

사람의 생리 기능,생명의 경외로움,인공장기,줄기세포,호르몬요법,인간의 생리기능 통제와 조절.동물장기

"생명체(인체)는 어떻게 기능하나 사람의 생리 기능을 중심으로"

부제: 사람의 생리기능은 대체가능한가

0.목차

1.서론 ; 생명의 경외로움

2.본론 1; 동물장기

3.본론 2; 인공장기1(기계장기)

4.본론 3; 인공장기2(줄기세포)

5.본론 4; 호르몬요법을 통한 인간의 생리기능 통제와 조절

6.결론 ; 인간의 생리기능은 대체가능한가

1.서론 ; 생명의 경외로움

우리가 가슴에 가슴을 맞대고 숨을 모을 때마다

태어나지 않은 영혼이 우리에게 자꾸만 접근해온다.

우리들의 정욕의 물결과 함께

그들은 생명을 부여받고자 한다.

장난과 입맞춤과 그리고 진정한 향락으로

무진장의 하룻밤은 꿈속같이...

밝은 아침은 산뜻한 기쁨을 불러온다.

그 하나 새로운 생이 잠 깨어

헤르만 헤세, '수태

생명의 경외로움은 동서양과 시대상을 불구하고 온갖 문학 및 예술의 소재가 되어왔으며, 심지어 종교의 영역마저 침범할 정도로 역사의 흐름에 따라 뜨거...

"생명체(인체)는 어떻게 기능하나 사람의 생리 기능을 중심으로"

부제: 사람의 생리기능은 대체가능한가

0.목차

1.서론 ; 생명의 경외로움

2.본론 1; 동물장기

3.본론 2; 인공장기1(기계장기)

4.본론 3; 인공장기2(줄기세포)

5.본론 4; 호르몬요법을 통한 인간의 생리기능 통제와 조절

6.결론 ; 인간의 생리기능은 대체가능한가

1.서론 ; 생명의 경외로움

우리가 가슴에 가슴을 맞대고 숨을 모을 때마다

태어나지 않은 영혼이 우리에게 자꾸만 접근해온다.

우리들의 정욕의 물결과 함께

그들은 생명을 부여받고자 한다.

장난과 입맞춤과 그리고 진정한 향락으로

무진장의 하룻밤은 꿈속같이...

밝은 아침은 산뜻한 기쁨을 불러온다.

그 하나 새로운 생이 잠 깨어

헤르만 헤세, '수태'

생명의 경외로움은 동서양과 시대상을 불구하고 온갖 문학 및 예술의 소재가 되어왔으며, 심지어 종교의 영역마저 침범할 정도로 역사의 흐름에 따라 뜨거운 감자가 되어 왔다. 과학관련 교양시간 레포트에 이런 말을 쓰는 것도 이상하지만, 생물학을 배우면 배울수록 때때로는 신의 존재에 대해 더 강한 믿음이 가기도 한다. 다윈의 진화론부터가 신의 존재를 배격하는 이론이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인간이 가지고 있는 수없이 많은 그리고 놀랍도록 정교한 신체 구조와 기능들을 하나하나 알아보면서 이렇게나 놀랍도록 철두철미하게 짜여진 인간의 몸을 보면 신이 아니고서는 도저히 이런 예술작품을 만들 수 있을것 같지 않기 때문이다.

기말 레포트의 주제가 인간의 신체가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생리기능을 중심으로 밝히라는 것이었는데 본 조는 이 과제를 매우 즐겁게 수행했다. 여러 가지 얘기가 오가고 심지어 종교적인 이야기까지 나오기도 했지만 그 하나하나가 평소에 조원들이 생각하던 그야말로 '생명의 신비' 를 제대로 고찰해보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아 참으로 재미있었던 기억이 난다. 만약 신이 존재하여 그 신이 인간의 신체를 만들고 생리기능의 법칙들을 만들었다면 과연 인간이 그 신의 아성에 도전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흥미로운 조사들의 결과물로 우리는 이 과제를 크게 4가지의 카테고리로 나누었다 ; 동물장기, 기계장기, 줄기세포 인공장기, 그리고 호르몬을 이용한 생리기능의 통제와 조절.

인간의 신이 만든 예술작품을 따라잡기 위한 노력의 결과물인 저 4개의 카테고리는 인간의 생리기능이 본래 어떻게 기능하는지 또한 이러한 기능들을 인간이 어떻게 만들어냈는지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하여 과연 인간의 생리기능을 우리가 대체해낼 수 있는지에 대한 주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2.본론 1; 동물장기

장기부전 환자의 치료를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이종장기이식은 말기 장기부전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평가 받고 있다. 부족한 이식 장기를 대처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전공학적 기법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형질전환장기의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종이식연구는 경제적인 고비용을 해결함과 동시에 환자들의 이식대기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장기부전 치료에 혁혁한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종장기이식의 기술적 의학적 위험성이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이종장기이식 시 생기는 부작용에는 초급성 거부반응, 체액성 급성 거부반응, 세포 매개성 거부반응 등이 있다. 한편, 종교계와 시민단체에서는 이종이식의 윤리적인 문제점과 관련 법의 부재 등을 주장하면서 이종장기이식을 반대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이종이식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위에서 언급한 거부반응에 대하여 논하고, 위 거부 반응에 대한 해결 방안을 다룰 것이다.

이종인식은 동물의 간, 심장, 신장 등 기관이나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것으로, 돼지의 경우에는 장기가 사람의 것과 크기가 비슷하고 유전자 배열도 유사하여 인체에 이식될 가능성이 가장 큰 동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었거나 개발을 목표로 하는 인체의 각 부위는 심장, 수정체, 귀, 코, 뼈, 치아, 어깨관절, 팔관절, 무릎관절, 유방 등에서 피부에 이르기까지 50여 종에 이른다. 특히, 여러 장기 또는 조직 중 췌도는 이종이식의 임상적용 대상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 이유는 췌도 이식은 고형장기에 비해 면역학적 및 생리학적 거부반응이 적고, 실패하더라도 치명적이지 않으며, 돼지 인슐린은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사람에게 사용되어 그 기능이 확인되었고, 수혜를 받을 수 있는 환자의 수가 많다는 점 등 때문이다.

이종인식연구에 대한 전망은 대체로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으나, 거부 반응을 제어해야 한다는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일단, 초급성 면역 거부반응은 인간 수여자의 자연 항체에 의하여 일어나게 되는데, 이 자연항체는 이식편의 혈관 내피세포에 결합하여 혈관내피의 부종과 미세혈관혈전증을 일으킨다. 돼지를 이용한 췌도 이식의 경우, 돼지 혈관 내피세포 표면에 있는 항원을 인간의 항체가 인식하기 때문에 거부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특정 항원을 결여한 형질전환 돼지의 장기가 생산되었고, 이를 통하여 초급성 거부반응을 완전히 억제 할 수 있었다.

체액성 급성 반응은 혈액 응고와 혈전을 발생시킨다. 응고병증은 이종이식 후 활성화된 항체와 보체 매개 내피세포 활성화나 이에 따른 혈소판 활성화에 의하여 일어난다. 현재, 혈액응고 시스템을 억제하는 방법이 연구 중에 있으며, 이는 이종이식의 활성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긴급한 과제 중 하나이다.

세포 매개성 거부반응은 세포독성 T 림프구의 활성화에 의하여 일어난다. 세포독성 T 림프구는 직접적으로 세포를 파괴하거나 사이트카인 생산 등을 통해 큰 포식세포, 호중구 등을 끌어오는 간접적인 역할을 한다. T 림프구는 이종의 장기에 대해서 거부반응을 일으키는데, 이는 T세포 특이 면역억제제나 공통자극분자 차단제를 사용하여 이식된 췌도의 생존기간을 늘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에 의해 밝혀졌다. 세포 매개성 거부반응의 경우, 아직까지 영구적인 면역 관용을 유도하지 못하여 위험요소로 남아 있지만, 포식세포의 비활성화 연구와 면역활성 억제제 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자료 (압축파일).zip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