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9일 목요일

(방통대 2017-1) 위험을 선택하고 당사자를 인터뷰한 다음 다음관점에서 분석하시오(원인, 책임, 해결방안, 느낀점) - 문서자료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90359
[사회복지개론_인터뷰공통.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분량 : 6 페이지 /hwp 파일
설명 : - 방통대 교육과 1학년 사회복지개론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Ⅰ. 서 론

Ⅱ. 본 론

1. 왕따 학생의 현재 실제적인 상황

2. 불편함의 내용들

3. 결핍된 내용들

4. 왕따 학생이 처해있는 위험들

5. 왕따 현상의 원인

6. 왕따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7. 왕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

Ⅲ. 결 론

Ⅰ. 서 론

2016년 청소년 보호위원회가 전국 초·중·고 청소년 1만 5천명을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조사 대상자의 7.0%가 지난 학기동안 집단 따돌림의 경험이 있다고 하였으며 초등학생은 10.7%나 차지하여 학력이 낮을수록 집단 따돌림의 피해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잘난 척 하는 아이(17.2%), 고자질하는 아이(11.3%), 어벙해 보이는 아이(8.5%)의 순으로 약 42.5%가 집단 따돌림을 받는 이유가 있다고 대답하였고. 24.5%는 집단따돌림을 목격 하였을 때 아무 것도 안한다고 대답하여 따돌림을 당연시 하고 따돌림의 원인이 피해자에 있다는 의식이 잠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해 사실을 알린 대상에 대해 친구, 가족, 교사 순으로 나타나 학교 자체 내의 인지가 매우 미흡함을 알 수 있었고 피해사실을 알리지 않은 이유에는 확대를 우려해서(33.6%), 알려도 소용없어서(22.9%)라는 점도 의미 있게 짚어 보아야 할 부분이다. (청소년 위원회, 2013)

이에 본인은 왕따를 당하는 학생이 실제적으로 겪는 고통의 심각성을 제시하고 그 원인과 책임 여부를 분석하여 나름의 해결책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레포트 자료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