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이론과실제 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 Down 상담이론과실제 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상담이론과실제 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서론. 집단상담이란, 개인이 지닌 여러 문제를 소집단의 경험을 통해 해결하는 상담의 한 형태로 초기단계, 과도기단계, 작업단계, 종결단계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다.집단 상담의 시작 전, 집단의 구성과 운영을 위한 계획이 세워지는 데 이 때 운영할 집단의 형태, 대상은 누구인지, 집단에 깔려있는 전제(가정)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는 지, 집단 구성원 선발 기준과 과정을 정하는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이 다뤄진다. 또한 집단의 크기, 모임의 시간 및 구조화집단과 비구조화집단, 폐쇄집단과 개방집단 여부 등 현실적인 고려사항을 확인하여 집단을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집단 상담의 각 단계의 특성은 어떠한지, 그리고 각 단계에서의 대표자 역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본론1. 집단상담의 초기단계초기 단계에서는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감의 형성이다. 또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과 관련된 주제를 탐색하고, 집단에서 어떻게 하면 많은 유익을 얻을 수 있는지에 관한 지침을 제공하며, 집단 상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집단 규칙을 세우게 된다.이러한 초기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집단이 어떻게 기능하는지 명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침묵하거나 서로를 살펴며 어색한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도자를 통해 집단이 어떻게 기능하는 지 배우게 되며, 지도자와 상의 하에 집단규칙을 정하고 잘 지킬 것을 약속한다. 집단참여자들은 점차 서로를 탐색하며 집단이 자기개방을 해도 될 만큼 안정한 장소인지 결정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도자의 역활은 집단 초기의 갈등이나 부정적인 반응에 적절히 대처하여 집단참여자들이 집단에 신뢰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때로 집단참여자들이 자신의 문제를 자발적으로 내놓았을 때 당사자가 자신에 대해 스스로 탐색할 수 있게 도와주는 과정임을 명시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1) 초기 단계집단의 특성- 초기 단계의 대표적인 특성은 '초기 불안'과 '초기 저항'이다. 집단 참여자들은 자신이 집단에 받아들여지지 않고 거절당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 불안해하거나, 집단이 자신을 공격할까봐, 혹은 반대로 집단에 의지하게 될까봐 걱정하기도 한다. 또한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문제가 발견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과 '변한 자신을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을까'에 대한 걱정을 하기도 한다. 때로는 자신이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무너지거나, 다른 사람들에 의해 판단될 것을 걱정하기도 한다.바로 이 과정에서는 불안뿐 아니라 초기 저항도 나타난다. 이는 자신의 문제를 보고 싶지 않고, 남들에게 드러내고 싶지 않을 때 일어나는 데 조심성이 많은 성격이거나, 집단에 대한 신뢰감이 낮은 경우에 일어나기도 한다. 초기 저항이 나타나는 경우, 개인적인 저항뿐만 아니라 집단에서는 공통적으로 완전히 논의되지 않은 주제, 즉 숨겨진 주제와 관련이 있는 저항이 나타나고 집단참여자들 사이에 긴장감이 감돌며, 신뢰감이 낮아지고, 사람들은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며 피상적인 얘기만 하려한다. 이때, 지도자는 집단참여자들이 꺼리는 행동, 즉 불만을 표현하거나 감정을 나타내는 행동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저항을 극복할 수 있다. 집단 초기에 대부분의 집단참여자들은 타인과 집단 밖의 상황에 초점을 맞추려고 하는 특징을 보인다. 즉 상대에게 질문을 계속 건네거나 가벼운 주제의 말을 계속 하려고 하는 데, 자신의 감정을 느끼고 싶지 않거나, 말을 많이 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세계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적절한 방어를 위해 상대에 대해 많이 알기 위한 목적이거나, 단순히 침묵이 불안해서 말을 하는 것 일수도 있다. 말을 하는 집단 참여자들 중 사실적인 이야기를 많이 하는 사람은 자신이 집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착각할 수 있으나, 사실 그들은 자신의 감정에 대해 이야기를 하거나 감정을 다루는 일을 피하고 있다.이때 지도자의 역할은 집단 참여자들이 타인에게 초점을 맞추는 행위가 그들의 방어적 행동일 수도 있다는 점을 깨우쳐주고 그들 자신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권유하는 기술을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지금-여기'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데, 참여자들이 집단에서 보이고 있는 행동양식들은 그들이 집단 밖에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집단 참여자들로 하여금 순간순간의 자신의 생각, 느낌, 그리고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해야 한다. 2) 신뢰감 형성- 지도자와 집단원의 역할지도자는 먼저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적절하게 자기개방을 하면서 집단 참여자들에게 모범을 보여야한다. 만약 공동지도자와 함께 집단을 운영한다면 서로를 존중하고 가식적이지 않아야 하며, 서로의 말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직접적으로 말해야 한다. 집단원은 그러한 태도와 행위가 가치 있다고 배우게 되고, 실제로 집단에 적용해보게 된다. 이를 통해 집단 참여자들은 서로 유대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신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유도하는 태도와 행위에는 주의집중과 경청, 비언어적 행위의 이해, 공감, 진실성, 자기개방, 존중, 돌보는 태도로 하는 직면, 신뢰의 유지가 있다. 첫 번째 주의집중은, 지도자와 집단원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다양한 경우로, 말하는 사람에게 초점을 맞추지 않고 다음에 무슨 말을 할지 생각하거나, 말하는 사람에게 성급하게 조언하는 경우, 자신이 듣고 싶은 부분만 선택적으로 듣거나, 관련 없거나 상세한 정보를 묻는 폐쇄형 질문을 하는 경우, 지나치게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경우, 비언어적인 표현을 놓치는 경우 등이다. 집단원은 경청기술이 부족하거나 그들이 느낀 것에 효과적으로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본적인 경청기술과 반응기술을 가르치는 것은 신뢰를 형성해나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두 번째로 집단 참여자들은 언어적, 비언어적 메시지의 불일치를 보이는데, 고통스러운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미소를 보이거나, 집단에 참여하고 싶다고 말하면서 자신의 주제를 꺼내기 주저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때 지도자는
2016년 9월 6일 화요일
상담이론과실제 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 Down - 레포트마켓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6640
상담이론과실제 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 Down 상담이론과실제 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상담이론과실제 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서론. 집단상담이란, 개인이 지닌 여러 문제를 소집단의 경험을 통해 해결하는 상담의 한 형태로 초기단계, 과도기단계, 작업단계, 종결단계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다.집단 상담의 시작 전, 집단의 구성과 운영을 위한 계획이 세워지는 데 이 때 운영할 집단의 형태, 대상은 누구인지, 집단에 깔려있는 전제(가정)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는 지, 집단 구성원 선발 기준과 과정을 정하는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이 다뤄진다. 또한 집단의 크기, 모임의 시간 및 구조화집단과 비구조화집단, 폐쇄집단과 개방집단 여부 등 현실적인 고려사항을 확인하여 집단을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집단 상담의 각 단계의 특성은 어떠한지, 그리고 각 단계에서의 대표자 역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본론1. 집단상담의 초기단계초기 단계에서는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감의 형성이다. 또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과 관련된 주제를 탐색하고, 집단에서 어떻게 하면 많은 유익을 얻을 수 있는지에 관한 지침을 제공하며, 집단 상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집단 규칙을 세우게 된다.이러한 초기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집단이 어떻게 기능하는지 명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침묵하거나 서로를 살펴며 어색한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도자를 통해 집단이 어떻게 기능하는 지 배우게 되며, 지도자와 상의 하에 집단규칙을 정하고 잘 지킬 것을 약속한다. 집단참여자들은 점차 서로를 탐색하며 집단이 자기개방을 해도 될 만큼 안정한 장소인지 결정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도자의 역활은 집단 초기의 갈등이나 부정적인 반응에 적절히 대처하여 집단참여자들이 집단에 신뢰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때로 집단참여자들이 자신의 문제를 자발적으로 내놓았을 때 당사자가 자신에 대해 스스로 탐색할 수 있게 도와주는 과정임을 명시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1) 초기 단계집단의 특성- 초기 단계의 대표적인 특성은 '초기 불안'과 '초기 저항'이다. 집단 참여자들은 자신이 집단에 받아들여지지 않고 거절당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 불안해하거나, 집단이 자신을 공격할까봐, 혹은 반대로 집단에 의지하게 될까봐 걱정하기도 한다. 또한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문제가 발견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과 '변한 자신을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을까'에 대한 걱정을 하기도 한다. 때로는 자신이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무너지거나, 다른 사람들에 의해 판단될 것을 걱정하기도 한다.바로 이 과정에서는 불안뿐 아니라 초기 저항도 나타난다. 이는 자신의 문제를 보고 싶지 않고, 남들에게 드러내고 싶지 않을 때 일어나는 데 조심성이 많은 성격이거나, 집단에 대한 신뢰감이 낮은 경우에 일어나기도 한다. 초기 저항이 나타나는 경우, 개인적인 저항뿐만 아니라 집단에서는 공통적으로 완전히 논의되지 않은 주제, 즉 숨겨진 주제와 관련이 있는 저항이 나타나고 집단참여자들 사이에 긴장감이 감돌며, 신뢰감이 낮아지고, 사람들은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며 피상적인 얘기만 하려한다. 이때, 지도자는 집단참여자들이 꺼리는 행동, 즉 불만을 표현하거나 감정을 나타내는 행동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저항을 극복할 수 있다. 집단 초기에 대부분의 집단참여자들은 타인과 집단 밖의 상황에 초점을 맞추려고 하는 특징을 보인다. 즉 상대에게 질문을 계속 건네거나 가벼운 주제의 말을 계속 하려고 하는 데, 자신의 감정을 느끼고 싶지 않거나, 말을 많이 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세계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적절한 방어를 위해 상대에 대해 많이 알기 위한 목적이거나, 단순히 침묵이 불안해서 말을 하는 것 일수도 있다. 말을 하는 집단 참여자들 중 사실적인 이야기를 많이 하는 사람은 자신이 집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착각할 수 있으나, 사실 그들은 자신의 감정에 대해 이야기를 하거나 감정을 다루는 일을 피하고 있다.이때 지도자의 역할은 집단 참여자들이 타인에게 초점을 맞추는 행위가 그들의 방어적 행동일 수도 있다는 점을 깨우쳐주고 그들 자신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권유하는 기술을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지금-여기'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데, 참여자들이 집단에서 보이고 있는 행동양식들은 그들이 집단 밖에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집단 참여자들로 하여금 순간순간의 자신의 생각, 느낌, 그리고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해야 한다. 2) 신뢰감 형성- 지도자와 집단원의 역할지도자는 먼저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적절하게 자기개방을 하면서 집단 참여자들에게 모범을 보여야한다. 만약 공동지도자와 함께 집단을 운영한다면 서로를 존중하고 가식적이지 않아야 하며, 서로의 말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직접적으로 말해야 한다. 집단원은 그러한 태도와 행위가 가치 있다고 배우게 되고, 실제로 집단에 적용해보게 된다. 이를 통해 집단 참여자들은 서로 유대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신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유도하는 태도와 행위에는 주의집중과 경청, 비언어적 행위의 이해, 공감, 진실성, 자기개방, 존중, 돌보는 태도로 하는 직면, 신뢰의 유지가 있다. 첫 번째 주의집중은, 지도자와 집단원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다양한 경우로, 말하는 사람에게 초점을 맞추지 않고 다음에 무슨 말을 할지 생각하거나, 말하는 사람에게 성급하게 조언하는 경우, 자신이 듣고 싶은 부분만 선택적으로 듣거나, 관련 없거나 상세한 정보를 묻는 폐쇄형 질문을 하는 경우, 지나치게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경우, 비언어적인 표현을 놓치는 경우 등이다. 집단원은 경청기술이 부족하거나 그들이 느낀 것에 효과적으로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본적인 경청기술과 반응기술을 가르치는 것은 신뢰를 형성해나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두 번째로 집단 참여자들은 언어적, 비언어적 메시지의 불일치를 보이는데, 고통스러운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미소를 보이거나, 집단에 참여하고 싶다고 말하면서 자신의 주제를 꺼내기 주저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때 지도자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자료 (압축파일).zip
상담이론과실제 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 Down 상담이론과실제 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상담이론과실제 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집단상담 과정의 각 단계 특징과 지도자의 역할서론. 집단상담이란, 개인이 지닌 여러 문제를 소집단의 경험을 통해 해결하는 상담의 한 형태로 초기단계, 과도기단계, 작업단계, 종결단계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다.집단 상담의 시작 전, 집단의 구성과 운영을 위한 계획이 세워지는 데 이 때 운영할 집단의 형태, 대상은 누구인지, 집단에 깔려있는 전제(가정)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는 지, 집단 구성원 선발 기준과 과정을 정하는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이 다뤄진다. 또한 집단의 크기, 모임의 시간 및 구조화집단과 비구조화집단, 폐쇄집단과 개방집단 여부 등 현실적인 고려사항을 확인하여 집단을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집단 상담의 각 단계의 특성은 어떠한지, 그리고 각 단계에서의 대표자 역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본론1. 집단상담의 초기단계초기 단계에서는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감의 형성이다. 또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과 관련된 주제를 탐색하고, 집단에서 어떻게 하면 많은 유익을 얻을 수 있는지에 관한 지침을 제공하며, 집단 상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집단 규칙을 세우게 된다.이러한 초기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집단이 어떻게 기능하는지 명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침묵하거나 서로를 살펴며 어색한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도자를 통해 집단이 어떻게 기능하는 지 배우게 되며, 지도자와 상의 하에 집단규칙을 정하고 잘 지킬 것을 약속한다. 집단참여자들은 점차 서로를 탐색하며 집단이 자기개방을 해도 될 만큼 안정한 장소인지 결정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도자의 역활은 집단 초기의 갈등이나 부정적인 반응에 적절히 대처하여 집단참여자들이 집단에 신뢰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때로 집단참여자들이 자신의 문제를 자발적으로 내놓았을 때 당사자가 자신에 대해 스스로 탐색할 수 있게 도와주는 과정임을 명시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1) 초기 단계집단의 특성- 초기 단계의 대표적인 특성은 '초기 불안'과 '초기 저항'이다. 집단 참여자들은 자신이 집단에 받아들여지지 않고 거절당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 불안해하거나, 집단이 자신을 공격할까봐, 혹은 반대로 집단에 의지하게 될까봐 걱정하기도 한다. 또한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문제가 발견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과 '변한 자신을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을까'에 대한 걱정을 하기도 한다. 때로는 자신이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무너지거나, 다른 사람들에 의해 판단될 것을 걱정하기도 한다.바로 이 과정에서는 불안뿐 아니라 초기 저항도 나타난다. 이는 자신의 문제를 보고 싶지 않고, 남들에게 드러내고 싶지 않을 때 일어나는 데 조심성이 많은 성격이거나, 집단에 대한 신뢰감이 낮은 경우에 일어나기도 한다. 초기 저항이 나타나는 경우, 개인적인 저항뿐만 아니라 집단에서는 공통적으로 완전히 논의되지 않은 주제, 즉 숨겨진 주제와 관련이 있는 저항이 나타나고 집단참여자들 사이에 긴장감이 감돌며, 신뢰감이 낮아지고, 사람들은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며 피상적인 얘기만 하려한다. 이때, 지도자는 집단참여자들이 꺼리는 행동, 즉 불만을 표현하거나 감정을 나타내는 행동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저항을 극복할 수 있다. 집단 초기에 대부분의 집단참여자들은 타인과 집단 밖의 상황에 초점을 맞추려고 하는 특징을 보인다. 즉 상대에게 질문을 계속 건네거나 가벼운 주제의 말을 계속 하려고 하는 데, 자신의 감정을 느끼고 싶지 않거나, 말을 많이 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세계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적절한 방어를 위해 상대에 대해 많이 알기 위한 목적이거나, 단순히 침묵이 불안해서 말을 하는 것 일수도 있다. 말을 하는 집단 참여자들 중 사실적인 이야기를 많이 하는 사람은 자신이 집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착각할 수 있으나, 사실 그들은 자신의 감정에 대해 이야기를 하거나 감정을 다루는 일을 피하고 있다.이때 지도자의 역할은 집단 참여자들이 타인에게 초점을 맞추는 행위가 그들의 방어적 행동일 수도 있다는 점을 깨우쳐주고 그들 자신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권유하는 기술을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지금-여기'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데, 참여자들이 집단에서 보이고 있는 행동양식들은 그들이 집단 밖에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집단 참여자들로 하여금 순간순간의 자신의 생각, 느낌, 그리고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해야 한다. 2) 신뢰감 형성- 지도자와 집단원의 역할지도자는 먼저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적절하게 자기개방을 하면서 집단 참여자들에게 모범을 보여야한다. 만약 공동지도자와 함께 집단을 운영한다면 서로를 존중하고 가식적이지 않아야 하며, 서로의 말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직접적으로 말해야 한다. 집단원은 그러한 태도와 행위가 가치 있다고 배우게 되고, 실제로 집단에 적용해보게 된다. 이를 통해 집단 참여자들은 서로 유대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신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유도하는 태도와 행위에는 주의집중과 경청, 비언어적 행위의 이해, 공감, 진실성, 자기개방, 존중, 돌보는 태도로 하는 직면, 신뢰의 유지가 있다. 첫 번째 주의집중은, 지도자와 집단원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다양한 경우로, 말하는 사람에게 초점을 맞추지 않고 다음에 무슨 말을 할지 생각하거나, 말하는 사람에게 성급하게 조언하는 경우, 자신이 듣고 싶은 부분만 선택적으로 듣거나, 관련 없거나 상세한 정보를 묻는 폐쇄형 질문을 하는 경우, 지나치게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경우, 비언어적인 표현을 놓치는 경우 등이다. 집단원은 경청기술이 부족하거나 그들이 느낀 것에 효과적으로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본적인 경청기술과 반응기술을 가르치는 것은 신뢰를 형성해나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두 번째로 집단 참여자들은 언어적, 비언어적 메시지의 불일치를 보이는데, 고통스러운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미소를 보이거나, 집단에 참여하고 싶다고 말하면서 자신의 주제를 꺼내기 주저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때 지도자는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가장 많이 본 글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1478 비에스텍의 `관계 7대 원칙`에 대해 설명하시오. 다운 자료 (압축파일).zip 비에스텍의 `관계 7대 원칙`에 대해 설명하시오. ...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19510 졸업식 답사.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90609 Operations Managemen.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1574 맥도날드 기업전략과 SWOT,마케팅전략분석및 맥도날드 문제점과 해결전략제안 Report 자료 (압축파일).zip 맥도날드 기업전략과...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3242 JW메리어트호텔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메리어트호텔 마케팅전략 분석과 성공요인분석및 메리어트호텔 향후전략제안 Down 자료 (압축...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2598 IKEA 이케아 기업분석과 이케아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이케아 문제점분석과 해결전략제안 솔루션 자료 (압축파일).z...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19802 르네상스시대 근대 정신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다운로드 자료 (압축파일).zip 르네상스시대 근대 정신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서양사 도...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19506 카피책.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분량 ...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19512 완벽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사랑.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
-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2570 제주항공 경영전략, 마케팅,서비스전략연구및 제주항공의 향후전략연구 다운 자료 (압축파일).zip 제주항공 경영전략, 마케팅,서비스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