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7월 1일 금요일

TFT-LCD와 AMOLED Down - 파워포인트레포트

From : http://www.needreport.com/index.php?document_srl=325656
TFT-LCD와 AMOLED Down

TFT-LCD와 AMOLED

- 졸업작품으로 제출하여 졸업하였고, LCD실험, OLED실험, LED실험, Display System실험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배운 모든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책도 20권 넘게 참고하여 필요한 부분을 참고 하였고 충분한 Reference가 달렸습니다.- 지금현재 대학원 생활을 display 분야로 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한 레포트입니다

액정디스플레이와 유기발광디스플레이의 부품소재 분석 및 기술 동향

1. Introduction

2. AMOLED와 TFT-LCD의 실제 Panel 분해 및 부품소재 비교

3. TFT-LCD의 Backlight Unit 부품 심층 분석

4. LCD의 구동원리 및 실제 소자 제조

5. AMOLED의 부품 소재 및 Encapsulation와 구조 분석

6. 차세대 AMOLED의 Top Emission 구조 이해

7. 광학현미경으로 LCD와 OLED의 TFT-array 분석

8. Active Matrix 및 주변 회로부 분석

9. TFT의 결정화 기술 종류와 이해

10. a-Si:H TFT, Poly-Si TFT, Oxide TFT, 그리고 Orgainc TFT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 분석

11. TFT-LCD와 AMOLED의 종합분석 및 Discussion

12. Future Displayf로 투명디스플레이와 Flexible 디스플레이의 현재 기술 동향

13. Reference1. TFT-LCD Introduction - Color TFT-LCD는 광원이 제일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디스플레이 방식은 스스로 빛을내는 발광형과 외부로부터의 빛을 이용하는 비발광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자발광 형태의 경우 OLED가 다. 하지만 TFT-LCD는 비발광형이며 액정이 단지 빛의 투과율과 광량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하면 액정 자체가 빛을 낼 수 없기 때문에 어떤 방법으로든 외부에서 빛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비발광에는 외부광을 이용하는 반사형과 광원을 액정 패널의 뒷면에 배치하고 뒷면에서 종명하는 투과형이 있다. 일반적으로 칼라 표시형에서는 투과형을 사용하며 형광등으로부터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여 액정 패널 전면에 빛을 조하는 Backlight unit라고 불리는 부품이 사용되고 있다. 실험에서 패널을 분해하고 이것을 면도날로 sealant를 잘라 상하판으로 분해한다.

2.AMOLED Introduction - 지금까지는 LCD가 주류로 디스플레이시장에 있었지만 OLED가 등장하면서 많이 비교가 되고 있다. 자발광 display인 OLED는 TFT-LCD의 color filter와 backlight의 역할을 OLED 유기층이 대신하고 있다. 즉AMOLED는 기능 복합화가 이루어져 부품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 LCD에서는 필요한 편광판, 도광판(LGP), 위상차 film, prism sheet 등의 각종 광학 film이 이제 필요가 없으며TFT는 LCD에서 단순한 switch 역할만 했지만 OLED

에서는 TFT가 계조표현까지 겸하고 있어 TFT 특성의 미세한 변화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LCD에 서 쓰던 a-Si:H보다 poly-Si으로 대체가 되어야 한다. 그 결과 LTPS 또는 oxide 반도체가 연구중 이다.

자료 (압축파일).zip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많이 본 글